관련자료

경영 insight 칼럼

경영 insight는 사업을 운영하는 동안 문제를 해결해주는 열쇠와 같습니다. 유레카를 외칠 수 있는 좋은 글이 되기를 기대합니다.

성공적인 경영을 하기 위하여는 경영 insight가 중요합니다.
경영 insight를 얻을 수 있는 마중물 경영 지식을 공유합니다.

경영현황 분석을 위한 2x2 matrix 많이 사용하시나요?

작성자
partners
작성일
2014-07-21 17:51
조회
335097
어려운 경영여건에서 경영환경을 정확히 분석한다는 것은 대단히 중요합니다. 미래전략을 포함해 모든 전략수립을 위하여는 현상에 대한 정확한 분석이 필수적이기 때문입니다. 현상을 잘못 이해한 기업의 사업방향 설정과 우선순위 결정은 마치 현재 부산에 있는데 서울에 있는줄 알고 광주로 가는 방법을 찾는 것과 같습니다. 전혀 엉뚱한 전략이 나오게 됩니다. 기본 개념만 이해한다면 언제든지 활용 가능한 2x2 matrix를 사용해 경영현황을 분석해 보시면 어떨까요?

2x2 matrix의 대표적인 사례는 보스톤 컨설팅 그룹의 BCG 매트릭스입니다. 회사의 전략을 수립하기 위하여 현재 제품 또는 사업부문별 포지셔닝이 어떠한지를 파악하기 위한 분석모델입니다. 시장점유율이 높고 성장률도 높은 STAR제품은 미래 성장동력으로 육성하여야 하며 시장점유율은 높지만 성장률이 낮은 Cash Cow는 R&D투자를 통한 신성장 동력 발굴과 최소비용전략을 통한 안정적 수익의 지속확보 전략을 추진해야 합니다. 한편 점유율도 낮고 성장률도 낮은 Dogs는 시장세분화 전략이나 차별화 전략과 함께 사업전환을 검토해야 하며 Question Marks는 신규투자를 통해 스타로 키울 것인지에 대한 전략적 검토가 필요합니다.

또 다른 사례로는 GE의 핵심인재 육성전략에서 사용된 2x2 matrix입니다. 핵심인재를 선발하기 위한 기준으로 역량과 성과라는 기준을 사용하고 있는데요 역량이 뛰어나고 성과가 뛰어난 인재를 핵심인재로 육성하고 역량은 뛰어 나지만 성과가 부족한 인재는 코칭을 통하여 역량이 발휘도도록 다양한 기회를 부여하며 역량이 부족하지만 성과가 뛰어난 인재는 성과에 맞는 보상을 통하여 지속적으로 동기부여하지만 역량도 부족하고 성과도 부족한 인재는 적성에 맞는 업무를 찾아주는 방법으로 역량을 발휘하도록 합니다.

2x2 mtrix는 서로 상반된 두가지 경영요소를 기준으로 큰 그림을 그릴 수 있게 함으로써 거시적인 관점에서 다양하게 환경을 분석할 수 있게 해 줍니다. 예를 들어 함께 일하는 직원들을 경영자와 사상이 맞아 편안하게 일할 수 있는 직원과 성과가 있는 직원을 기준으로 분석해 볼 경우 감각적인 평가를 구체적인 평가로 전환할 수 있어 명확한 개선대안을 쉽게 만들수 있습니다.

경영환경의 급속한 변화는 구체적인 data의 활용의 한계를 느끼게 하기도 하여 경영자의 동물적 감각의 중요성을 새삼 강조하기도 합니다. 그러나 경영자의 동물적인 감각을 보완하고 구체화함으써 판단의 오류를 줄일 수 있는 분석틀로써 2x2 matrix의 사용을 생활화하신다면 의사결정의 자신감과 정확성이 제고될 것으로 판단됩니다.